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성씨 순위와 본관, 특이한 성씨의 유래

by 높은드림 2025. 3. 14.
반응형

한국인의 성씨는 조상과 지역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씨와 본관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정확한 정보는 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성씨 순위와 주요 본관 정보를 정리하고, 특이한 성씨와 그 유래까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한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 순위 TOP 25

 

친구들끼리 우스겟소리로 "너는 상놈 출신이고 나는 양반출신이다." 라고 놀리곤 했는데요. 천,방,지,축,마,골,피 성을 가진 사람들은 그때 천한 직분을 가진 사람들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죠. 하지만 사실 조선시대때 성씨를 사고팔기도 해서 큰의미는 없습니다. 그래서 양반출신의 성씨가 많은것입니다.

 

다음은 2025년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가장 많은 성씨를 순서대로 정리했습니다.

  1. 김(金): 약 21.6% (대표 본관: 김해 김씨, 경주 김씨)
  2. 이(李): 약 14.8% (대표 본관: 전주 이씨, 경주 이씨)
  3. 박(朴): 약 8.5% (대표 본관: 밀양 박씨, 반남 박씨)
  4. 최(崔): 약 4.7% (대표 본관: 경주 최씨, 전주 최씨)
  5. 정(鄭): 약 4.3% (대표 본관: 하동 정씨, 동래 정씨)
  6. 강(姜): 약 2.6% (대표 본관: 진주 강씨, 평택 강씨)
  7. 조(趙): 약 2.4% (대표 본관: 양주 조씨, 풍양 조씨)
  8. 윤(尹): 약 2.0% (대표 본관: 파평 윤씨, 해남 윤씨)
  9. 장(張): 약 1.9% (대표 본관: 인동 장씨, 결성 장씨)
  10. 임(林/任): 약 1.8% (대표 본관: 나주 임씨, 풍천 임씨)
  11. 오(吳): 약 1.7% (대표 본관: 함양 오씨, 해주 오씨)
  12. 서(徐): 약 1.5% (대표 본관: 달성 서씨, 태인 서씨)
  13. 안(安): 약 1.4% (대표 본관: 순흥 안씨, 죽산 안씨)
  14. 유(柳/兪): 약 1.3% (대표 본관: 문화 유씨, 진주 유씨)
  15. 남(南): 약 1.2% (대표 본관: 의령 남씨, 영양 남씨)
  16. 노(盧/魯): 약 1.0% (대표 본관: 광산 노씨, 풍천 노씨)
  17. 하(河/夏): 약 0.9% (대표 본관: 진양 하씨, 청주 하씨)
  18. 곽(郭): 약 0.8% (대표 본관: 현풍 곽씨, 청도 곽씨)
  19. 성(成/星): 약 0.7% (대표 본관: 창녕 성씨, 고성 성씨)
  20. 전(全/田): 약 0.6% (대표 본관: 덕수 전씨, 담양 전씨)

그 외에 21위는 유씨, 22위는 고씨, 23위는 문씨, 24위는 양씨, 25위는 손씨입니다.

 

다음은 재미로 보는 우리나라의 희귀 성씨 영상입니다▼

 


🏡 주요 성씨의 대표적인 본관

 

한국의 성은 단순히 이름뿐만 아니라 "본관"이라는 지역적 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성의 대표적인 본관을 간단히 정리한 내용입니다.

  • 김(金): 김해 김씨는 신라 왕족의 후손으로 유명하며 경주 김씨는 신라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후손입니다.
  • 이(李): 전주 이씨는 조선 왕조를 세운 이성계의 후손이며 경주 이씨는 신라 초기 귀족 가문입니다.
  • 박(朴): 밀양 박씨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후손이며 반남 박씨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유명한 학자들을 배출했습니다.
  • 최(崔): 경주 최씨는 신라 시대부터 이어진 귀족 가문이며 전주 최씨는 고려 초기부터 명문 가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정(鄭): 하동 정씨는 고려 시대 명문 가문으로 유명하며 동래 정씨는 조선 시대 학자들을 많이 배출했습니다.

🌟 한국의 특이한 성과 그 유래

 

한국에는 흔하지 않은 독특한 성도 존재합니다. 아래 몇 가지 특이한 성과 그 유래를 소개합니다.

  • 독고(獨孤): 중국에서 귀화한 고대 왕족과 관련된 희귀 성입니다.
  • 황보(皇甫): 중국 황실과 관련된 귀화 가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제갈(諸葛): 삼국지의 제갈량과 같은 중국 고대 명문가에서 유래된 성으로 매우 희귀합니다.
  • 탁(卓): 고려 시대에 등장한 특이한 귀족 가문이며 현재도 매우 드뭅니다.
  • 구리(具里): 한국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희귀성을 가진 가족들로 알려져 있습니다.

✨ 마치며: 한국인의 뿌리를 이해하자

성은 단순한 명칭 뿐 아니라 우리의 뿌리와 역사를 담고 있는 소중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위 내용을 통해 자신의 뿌리를 더 깊게 이해하고 자부심을 느끼셨길 바랍니다.

 

나의 성씨의 비율이 많다고 나쁜것도 아니고 특이한 성씨를 가졌다고 좋은것도 아닙니다. 나의 이름에 감사하며 잘 적응해 나가는 마음가짐이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결혼식 어린이 식권 몇살부터 내야할까? 아이 동반 꿀팁

결혼식에 가면 축의금을 내고 식권을 받아서 식사를 하게 되죠. 그런데 어린이를 동반할 경우에는 조금 애매한 상황이 생기곤 합니다. 어떤 예식장은 5살부터 식권을 받기도 하고 어떤 곳은 7살

12.apalmbranch.com

 

 

해촉증명서 뜻, 양식, 국민연금·건강보험료 절감 방법 알아보기

프리랜서나 계약직으로 일하시는 분들 혹은 퇴직 후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 부담을 줄이고 싶으신가요? 그렇다면 해촉증명서를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이 문서는 소득 종료를 증명해 보험료를

12.apalmbranch.com